villa C
2025
Usage: Residence
Area: 175.5㎡
Client: Choi Jindong
“집은 삶의 보물상자여야 한다.”
- 르 코르뷔지에 -
이번 프로젝트는 이 문장을 출발점으로, ‘거주자의 취향을 품은 집’을 주제로 했다. 집은 단순한 거주의 틀을 넘어, 시간이 축적된 안목과 감각이 스며드는 정체성의 공간이다. 우리는 이를 ‘삶의 흔적과 취향이 자연스럽게 쌓여가는 장소’로 해석했다.
공간은 변화하는 취향을 유연하게 수용하면서도, 일상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절제된 구성을 지향했다. 형태적 장식보다 비례와 여백의 질서를 통해, 거주자가 자신만의 미감과 질서를 완성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겼다. LDK 영역에는 얇은 날개벽을 두어 시각적 분절과 동시에 기능적 유동성을 확보하고, 생활의 방식에 따라 공간이 자연스럽게 전환되도록 했다.
이 집은 완결된 형태가 아닌, 거주자의 시간과 감각에 따라 조금씩 갱신되는 ‘살아 있는 구조’이다. 삶이 스며들며 비로소 완성되어가는, 한 사람의 취향이 곧 공간의 언어가 되는 집이 그리고자 했다.
“The home should be the treasure chest of living.” – Le Corbusier
This project takes this statement as its point of departure, exploring the idea of a home that embodies the resident’s sensibility and taste. A home is not merely a frame for living—it is a vessel of accumulated perception and sensibility, a space that reflects identity through time. We interpreted this as a place where traces of life and layers of taste are quietly built up over time.
The spatial composition was designed to flexibly accommodate evolving tastes while maintaining a calm, unobtrusive flow of daily life. Rather than imposing decorative form, we emphasized proportion and void—allowing the resident to define their own sense of order and beauty. In the LDK area, a slender wing wall introduces subtle visual division while enabling functional flexibility, so the space can adapt naturally to shifting patterns of living.
This house resists completion—it evolves, renewed by the resident’s time and sensibility, forming a living structure in constant dialogue with its inhabitant. It is conceived as a home completed not by design alone, but by the life that fills it—where a person’s taste becomes the language of space.
















